디카페인 커피, 진짜 ‘카페인 0’일까?
아침의 첫 모닝커피, 혹은 밤늦게 마시는 위로 한 잔.
커피는 이제 ‘습관’이자 ‘위로’가 되었죠.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카페인에 예민하게 반응하기 시작한 사람들,
그리고 임신·수유 중이라 조심스러운 분들에게 디카페인 커피는 하나의 대안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궁금하지 않으세요?
“디카페인은 정말 카페인이 하나도 없을까?”
오늘은 이름에 가려진 ‘디카페인 커피의 진짜 이야기’를 함께 풀어봅니다.

‘디카페인’은 0%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디카페인’을 ‘무카페인’으로 착각하지만,
디카페인은 카페인을 완전히 없앤 커피가 아닙니다.
커피 생두 속 카페인의 약 97~99%만 제거된 것으로,
잔당 평균 2~5mg 정도의 카페인이 남아 있어요.
일반 아메리카노 한 잔(약 80~120mg)과 비교하면
무려 1/20 수준의 미세한 양이죠.
즉, 카페인은 ‘거의’ 없지만, ‘완전히’ 없는 건 아닙니다.
카페인을 없애는 세 가지 기술
1️⃣ 스위스 워터 프로세스 (Swiss Water Process)
- 물만을 이용해 천천히 카페인을 제거
- 인공 용매 없이 ‘자연 친화적’이며 풍미 유지력 최고
2️⃣ 용매 추출법 (Solvent Process)
-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화학 용매 사용
- 제거 효율은 높지만, 최근엔 환경·안전 문제로 기피
3️⃣ 초임계 이산화탄소법 (CO₂ Process)
- 압축된 이산화탄소로 카페인만 선택적으로 분리
- 맛과 향 손실이 거의 없는 고급형 방식
최근 국내외 디카페인 브랜드는 대부분
워터 프로세스나 CO₂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디카페인을 추천해요
✔ 카페인 섭취 후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잠이 오지 않는 분
✔ 임신·수유 중으로 카페인을 조절해야 하는 분
✔ 커피의 향은 좋아하지만 카페인의 각성 효과가 부담스러운 분
✔ 저녁 시간에도 따뜻한 커피 향으로 하루를 마무리하고 싶은 분
일반 커피 vs 디카페인 커피
| 카페인 함량 | 약 80~120mg | 약 2~5mg |
| 맛과 향 | 강렬하고 진한 풍미 | 부드럽고 은은한 향 |
| 섭취 권장 시간 | 오전~오후 3시 전 | 밤에도 부담 없이 |
| 추천 대상 | 활력을 원하는 사람 | 휴식을 원하는 사람 |
디카페인은 마치 ‘볼륨을 살짝 줄인 커피’처럼,
자극은 줄이고 향과 여운은 남기는 조용한 잔이에요.
‘무카페인’과의 결정적 차이
이 부분을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아요.
- 디카페인 커피: 원두 속 카페인을 ‘거의’ 제거한 커피
- 무카페인 음료: 애초에 카페인이 없는 원료 (루이보스, 보리차, 캐모마일 등)
즉, 디카페인은 ‘줄인 커피’, 무카페인은 ‘없는 음료’.
이 차이를 알고 마시면 선택이 훨씬 명확해집니다.

실제 디카페인 커피 카페인 함량 조사 결과
소비자원이 시중 디카페인 제품 30여 종을 조사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2~5mg의 카페인이 검출되었습니다.
| A사 디카페인 아메리카노 | 2.7mg | 거의 무카페인 수준 |
| B사 디카페인 라떼 | 4.8mg | 소량 카페인 존재 |
| C사 디카페인 원두커피 | 5.2mg | 일반커피의 1/20 수준 |
| D사 인스턴트 디카페인 | 3.1mg | 스틱형 커피 기준 |
| E사 캡슐 디카페인 | 2.2mg | 가장 낮은 수치 |
평균 약 3.6mg/잔
→ 완전한 제로는 아니지만, 일상 섭취에 무해한 수준입니다.
하루 카페인 권장 섭취량
- 성인: 하루 400mg 이하
- 임산부: 300mg 이하
따라서 디카페인 커피는
3~4잔 정도까지는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수준이에요.
단, 카페인에 특히 예민한 체질이라면
‘하루 2잔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좋아요.
오늘의 커피 체크리스트
✅ 디카페인은 ‘카페인 제거 커피’, 0%는 아님
✅ 1잔당 평균 2~5mg 카페인 함유
✅ 스위스 워터 / CO₂ 방식 제품이 가장 안전
✅ 임산부·민감 체질은 하루 1~2잔 권장
✅ 진짜 무카페인을 원한다면 루이보스차, 보리차 선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소년 근로권과 알바 계약서 (22) | 2025.11.10 |
|---|---|
| 공부보다 중요한 ‘학습 습관 루틴의 힘’ (27) | 2025.11.09 |
| 2030세대의 소비 패턴, ‘작은 사치’의 심리 (36) | 2025.11.06 |
| 발견하지 못한 밤의 세계야간 여행 · 노크투리즘(Noctourism)의 부상 (44) | 2025.11.04 |
| 사무실이 사라진다? 일터의 개념을 바꾼 하이브리드 워크 (42) | 2025.11.03 |